Bigtech Insight

AI시대, 투비유니콘과 함께.

되돌아본 인공지능(AI)분야 2024년

관리자
2025-06-04
조회수 8

윤진욱 투비유니콘 대표이사

2024년의 마지막 달력을 넘겨야 할 날도 며칠 남지 않았다. 인공지능(AI) 분야에 종사자로 올해를 되돌아보면 기술이 빠르게 진화하며 사회 각 분야에서 큰 변화를 일으킨 해라고 진단하고 싶다. 인공지능은 이제 연구 분야를 넘어 경제와 산업, 교육과 의료 등 우리의 일상과 밀접하게 연결된 핵심 기술로 자리 잡았다.

올해 인공지능의 기술적 발전은 크게 세 가지 주요 트렌드로 요약할 수 있다. 먼저 초거대 언어모델(LLM)의 성능은 눈부신 향상되었다는 점이다. 이러한 모델은 사람처럼 자연스럽게 대화할 뿐만 아니라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거나 창의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수준까지 올랐다. LLM은 의료 진단과 법률 상담, 금융 분석 등 다양한 전문 분야에서 인간 전문가의 역할을 보조하는 수준을 넘어서고 있다.

두 번째로 멀티모달 AI의 발전이다. 이는 텍스트와 이미지, 음성 등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기술로 텍스트뿐만 아니라 그림이나 동영상과 같은 시각적 매체를 통해서도 AI와 상호작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예술적 창작과 디자인, 광고 등 창의적인 산업에서 새로운 기회를 열어줬다.

마지막으로 AI 시스템의 발전은 그야말로 혁명적이다. 로봇과 자율 주행차, 드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자율적인 결정을 내리는 AI 기술이 상용화되었다. 이에 따라 인간과 AI 간의 협업 모델이 더욱 강화되고 있으며, 사람은 반복적이고 단순한 작업을 AI에게 맡기고, 더 창의적이고 전략적인 업무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인공지능의 발전이 빠를수록 그로 인한 사회·윤리적 문제는 더 복잡해지고 있다. 일자리와 경제적 불평등의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인공지능의 도입으로 일부 산업에서는 생산성 향상과 효율성을 이룬 반면에 일자리 대체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AI로 인해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는 동시에 전통적인 일자리가 사라지는 현상은 고용 불안과 소득 불평등을 초래라는 정반대의 결과를 낳고 있는 것이다. 또한 AI 시스템이 인간의 결정을 대체하거나 데이터 확보 및 처리에 있어 개인정보보호 등 윤리적 문제도 중요해졌다. 따라서 AI 개발자들은 공정성과 투명성, 책임을 고려한 시스템 설계를 요구받으며 이를 규제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2024년은 인공지능의 기술적 발전과 그로 인한 사회적 변화가 본격적으로 나타난 해이다. AI는 이제 혁신적 기술을 넘어서 사회 구조와 경제의 중요한 축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발전 속에서 우리는 AI의 긍정적인 잠재력을 최대한 활용하는 동시에 윤리적, 경제적 문제를 해결할 방안을 동시에 모색해야 할 시점에 놓여 있다.

출처 : [금강칼럼] 되돌아본 인공지능(AI)분야 2024년

0 0




Customer Center
1644-1013

Head Office

56, Cheongsu 8-ro, Dongnam-gu, Cheonan-si, Chungcheongnam-do


Research Institute

83, Jukdong-ro, Yuseong-gu, Daejeon, 3rd floor 


Seoul Branch

1403, Teheran-ro 311, Gangnam-gu, Seoul 




ⓒ 2025. Tobeunicorn Co., Ltd.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