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gtech Insight

AI시대, 투비유니콘과 함께.

새 정부 AI 정책에 대한 기대

관리자
2025-06-04
조회수 10

윤진욱 투비유니콘 대표이사


현재 글로벌 경제는 인공지능(AI)으로 인해 근본적인 변화를 겪고 있다. 우리나라는 강력한 IT 인프라를 갖추고 있어 산업 전반에 AI 기술이 잘 적용된다면 국가 성장의 기회를 맞이할 여건을 갖췄다. AI 벤처기업 대표로서 필자는 현장에서 AI가 어떻게 산업을 개편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 나가는지 직접 체감하고 있다. 동시에 AI가 지닌 잠재력을 더욱 확장하고 새로운 시장을 개척해 나가기 위한 어려움 또한 절실히 느끼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새 정부가 AI 산업 육성에 대한 확실한 비전을 갖고 출범함에 따라 큰 기대를 걸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의 2025년 연례 경제보고서에 따르면, AI 활용은 우리나라의 잠재 성장률을 최대 0.44%포인트까지 끌어올릴 수 있다고 전망했다. 우리 경제는 빠르게 고령화되고 노동력 감소에 직면해 있어 AI의 활용은 지속적인 경제 성장의 디딤돌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새 정부의 AI 육성 정책은 단순히 경제 성장을 넘어, 인구구조 변화라는 국가적 난제를 해결하고 장기적으로 사회적 복지와 경제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필수 과제인 것이다.

AI 기술 발전의 원동력은 무엇보다 충분한 자금확보가 전제되어야 가능하다.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대규모 재정 확보와 전폭적인 지원은 AI 벤처 생태계에 활력을 불어넣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정부의 선투자는 민간 투자의 위험 부담을 줄여줘 더 많은 자본이 AI 분야로 유입되도록 하는 마중물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선순환 구조가 형성되면 혁신을 더욱 가속 시킬 수 있어 새로운 정부의 비전 달성을 앞당길 것이다.

AI 기술 발전의 근간인 대규모 데이터센터 등 인프라 구축과 인재 양성과 관리에 대한 기대도 크다. AI 기술의 성공 여부는 최첨단 하드웨어 확보와 함께 고도로 숙련된 인적 자원, 그리고 규제 철폐와 정책 프레임 워크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에 달려 있다. 따라서 독립적인 정부 조직이 설립되어 이를 융합하고 종합적으로 컨트롤해야 연구개발 효율성이 극대화되어 글로벌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

이제 AI 기술 수준이 글로벌 경제를 이끌어가는 기준이 되어가고 있다. 우리나라는 기술을 빠르게 추격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내는데 탁월한 능력을 갖고 있다, 새로운 정부의 AI 정책은 대한민국이 글로벌 리더들을 따라잡는 것을 넘어, 세계를 선도할 수 있는 위치로 도약시키는데 바탕이 될 것을 확신한다. 세부 정책이 최대한 빨리 마련되고 더욱 전략적으로 추진된다면 ‘K-문화’와 함께 ‘K-AI’로 새로운 대한민국을 열어갈 것이다. AI 벤처기업인의 한사람으로서 기대감과 사명감으로 더욱 열심히 뛰어 뒷받침해 나가겠다.

출처 : [금강칼럼] 새 정부 AI 정책에 대한 기대

0 0




Customer Center
1644-1013

Head Office

56, Cheongsu 8-ro, Dongnam-gu, Cheonan-si, Chungcheongnam-do


Research Institute

83, Jukdong-ro, Yuseong-gu, Daejeon, 3rd floor 


Seoul Branch

1403, Teheran-ro 311, Gangnam-gu, Seoul 




ⓒ 2025. Tobeunicorn Co., Ltd. All Rights Reserved.